티스토리 뷰

 

비트코인 반감기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은 디지털 통화의 일종으로, 2009년 익명의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상화폐다. 기존 화폐 시스템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개입 없이 운영되는 분산형 디지털 화폐라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1. 비트코인의 주요 특징

 

  • 탈중앙화 : 비트코인은 전 세계의 수많은 노드(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유지한다. 중앙 기관 없이 참여자들이 서로 검증하며 신뢰를 확보한다.
  • 투명성 : 블록체인을 통해 모든 거래 내역이 공개되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제한된 발행량 :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 개로 고정되어 있다. 이는 희소성을 부여하며, 금과 유사한 디지털 자산으로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다.
  • 익명성 : 비트코인 주소를 통해 거래하지만, 주소에 직접적으로 개인 신원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익명성이 유지된다.

 

2.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의 관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을 구성하는 기술적 토대다.

"블록(Block)"이라는 데이터 저장 단위와 이를 연결하는 "체인(Chain)"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거래 정보가 위변조되지 않도록 암호화한다.

 

각 블록에는 거래내역, 타임스템프, 블록 연결 해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기존 블록과 연결되면서 전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이 기술의 핵심은 탈중앙화로 정리할 수 있다.

수 많은 참여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며, 데이터를 수정하려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참여자의 동의가 필요하므로 사실상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비트코인은 이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한다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 작동 원리

 

 

1. 알고리즘

 

비트코인은 "작업 증명(Proof of Work)"이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채굴자들은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어 블록을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비트코인을 보상으로 받는다. 비트코인은 블록 이름을 16진수로 표기한 총 64자리의 해시함수를 찾아내야 하며, 이 함수를 찾아내는 주체에게 비트코인을 발행하여 지급하도록 되어있다.

이 블록이라는 것의 생성시간은 10분마다 재생성되는데,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구글의 양자컴퓨터가 재성성 기간 내에 비트코인을 뚫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2. 채굴이란?

 

채굴은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뜻한다.

채굴자는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해 계산 작업을 수행하며, 이때 엄청난 양의 전기가 소비된다.

최근에는 채굴의 난이도가 대폭 올라가 ASIC 전용채굴기가 아니면 채굴그룹에 속하기도 힘드며, 전용채굴기가 아닌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초고사양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하루종일 구동해봐야 100~200원 수준의 수익밖에 낼 수 없어, 전기요금이 갑갑절 이상 나올 수 있다.

 

  • 목적: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보안을 유지.
  • 보상: 채굴에 성공하면 새로운 비트코인과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비트코인 반감기

 

1. 반감기란?

 

반감기는 비트코인의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주기적 이벤트를 의미한다.

이는 비트코인 코드에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규칙으로, 약 4년마다 발생한다. 채굴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지급되는 비트코인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며, 발행 총량은 약 2,100만개에 근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반감기를 거듭하여 최종적으로 채굴이 종료되는 시점은 2140년으로 보고 있어, 앞으로도 약 120년 동안 채굴이 가능하지만, 추후에는 채굴보상이 기하급수록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채굴을 지속하게 될른지는 미지수이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발행 처음 보상이었던 50비트코인은 반감기를 거치면서 점점 줄어들어서 현재는 3비트코인에 불과하며, 당장 10년 후에는 소수점 자리의 보상으로 바뀌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소수점 몇 자리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채굴 생산정이란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2. 반감기의 중요성

 

  1. 희소성 증가 : 비트코인의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희소성이 높아지고, 이는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2. 채굴자 수익성 변화 : 보상이 줄어들면서 채굴의 경제성이 영향을 받는다. 전기 비용 대비 채굴 수익이 낮아지면, 일부 채굴자는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
  3. 시장 반응 : 반감기는 역사적으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촉매 역할을 해왔다. 예를 들어, 2012년, 2016년, 2020년 반감기 이후에는 큰 폭의 가격 상승이 있었다.

 

 

3. 반감기 메커니즘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 수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반감기가 설계되었다. 초기에는 한 블록당 50 BTC가 보상으로 주어졌으나, 이후 반감기를 통해 점점 줄어들었다.

 

  • 2012년 첫 번째 반감기 : 50 BTC → 25 BTC
  • 2016년 두 번째 반감기 : 25 BTC → 12.5 BTC
  • 2020년 세 번째 반감기 : 12.5 BTC → 6.25 BTC
  • 2024년 네 번째 반감기 : 6.25 BTC → 3.125 BTC
  • 2028년 다섯 번째 반감기 : 3.125 BTC → 1.5625 BTC

 

 

4. 가격 상승 촉매제

 

비트코인의 공급이 줄어들면 수요-공급 법칙에 따라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과거 반감기 이후의 데이터에서도 이러한 패턴이 반복되었다.

 

비트코인 반감기와 상승률
No.
반감기 날짜
가격
반감기 이후
최고가 날짜
가격
상승률
상승 기간
0
2009년 1월 3일
2010년 7월 17일
$0.05
2011년 6월 8일
$31.91
63,719.7%
888일
328일
1
2012년 11월 28일
$12.22
2013년 11월 30일
$1,163.00
9,417.19%
367일
2
2016년 7월 10일
$648.76
2017년 12월 17일
$19,666.00
2,931.33%
526일
3
2020년 5월 12일
2022년 11월 21일
$8,825.46
$15,476.00
2021년 11월 10일
2024년 3월 14일
$69,000.00
$73,777.00
681.83%
376.71%
548일
480일
4
2024년 4월 20일
$63,938.02
2025년 ?월 ?일
 
 
 

< 출 처 : 나무위키 >

 

비트코인 최고가 이후 하락률
No.
최고가 날짜
가격
최고가 이후
최저가 날짜
가격
하락률
하락 기간
0
2011년 6월 8일
$31.91
2011년 11월 17일
$1.99
-93.76%
162일
1
2013년 11월 30일
$1,163.00
2015년 1월 14일
$152.40
-86.89%
411일
2
2017년 12월 17일
$19,666.00
2018년 12월 15일
$3,122.28
-84.12%
364일
3
2021년 11월 10일
$69,000.00
2022년 11월 21일
$15,476.00
-77.57%
376일

< 출 처 : 나무위키 >

 

 

5. 반감기의 채굴 생산성

 

채굴 보상이 감소하면서 채굴자들은 더 효율적인 장비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전기 비용이 저렴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대응 방안을 강구한다.

다만 위에서도 밝혔다시피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거듭된 반감기를 거치다보면 채굴보상이 점점 줄어들어 사토시 단위에 근접하게 되므로, 채굴 생산성이 맞지 않는 시기가 온다면 비트코인의 채굴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6. 투자자에게 반감기의 의미

 

반감기는 비트코인이 왜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지 설명하는 핵심 요소다.

이는 공급 제한을 통해 가치를 보존하려는 비트코인의 설계 철학을 보여주는 동시에,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반감기는 투자 타이밍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반감기는 무조건 상승한다라는 일차원적인 접근으로는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다.

반감기 시작으로부터 상승랠리가 시작되지만, 이에 더불어서 찾아온 급락기가 상승분의 대부분을 반납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니 투자목적으로서 반감기에 대한 접근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