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집권으로 뜨거워지고 있는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암호화폐 즉, 코인을 보관하는 방법은 거래소에 맡겨놓거나, 온라인 개인지갑에 보관하거나, 혹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USB 형식 포함)에 보관하는 방법 등 다양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이 세분화되고 있는 이유는 코인 대부분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라고는 하지만, 얼마 전 바이비트 이더리움 해킹사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암호화폐도 해킹의 위험에서 100%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거래하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뱅크런(파산)하여 예치해 놓은 암호화폐를 받을 수 없게 되는 일말의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까닭이기도 합니다.
결국 현재의 암호화폐는 기존의 금융상품과 비견될 정도로 급속도록 성장하혔고, 그 자산 규모 또한 방대해졌기에, 이러한 암호화폐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다양한 보관방법이 등장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암호화폐 지갑은 크게 "핫 월렛(Hot Wallet)"과 "콜드 월렛(Cold Wallet)"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터넷과 연결된 지갑이면 핫 월렛이고, 인터넷과 차단된 지갑이면 콜드 월렛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핫 월렛과 콜드 월렛은 그 안에서도 여러 종류의 지갑형태가 존재하는데, 오늘은 이러한 암호화폐 지갑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요약 정리 된 형태로 간단히 구술하여 살펴보겠습니다.
핫 월렛(Hot Wallet)
🔥 핫 월렛 (Hot Wallet) – 인터넷에 연결된 지갑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지만, 해킹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갑입니다.
✅ 1. 웹 월렛 (Web Wallet)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하는 지갑으로, 디앱(DApp)과 쉽게 연동 가능.
- 주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빠른 접근성과 편리함이 장점.
- (종류) 메타마스크(MetaMask), 팬텀(Phantom), 래빗(Rabby), 프리즘(Prism), 클레버(Klever)
✅ 2. 소프트웨어 월렛 (Software Wallet)
- PC나 스마트폰에서 앱 형태로 사용하는 지갑.
- 로컬 장치에 개인 키를 저장하며, 비교적 보안성이 높음.
- (종류) 엑소더스(Exodus), 아토믹 월렛(Atomic Wallet), 코인98(Coin98),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코인베이스 월렛(Coinbase Wallet)
✅ 3. 모바일 월렛 (Mobile Wallet)
-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전용 앱 기반 지갑.
- QR 코드 결제, 디앱 연동 등의 기능 제공.
- (종류)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코인베이스 월렛(Coinbase Wallet), 세이프팔 모바일(Safepal Mobile),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
✅ 4. 거래소 지갑 (Exchange Wallet)
- 중앙화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지갑으로, 사용이 편리하지만 개인 키를 직접 관리할 수 없음.
- 거래소가 해킹당할 경우 자산이 위험할 수 있음.
- (종류) 바이낸스(Binance), 업비트(Upbit), 코인베이스(Coinbase), 크라켄(Kraken), 후오비(Huobi)
콜드 월렛 (Cold Wallet)
❄️ 콜드 월렛 (Cold Wallet) – 오프라인에서 보관하는 지갑
인터넷과 분리되어 있어 해킹 위험이 적지만, 사용이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 1. 하드웨어 월렛 (Hardware Wallet)
- USB 형태의 물리적인 장치로 개인 키를 보관.
-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음.
- (종류) 렛저 나노(Ledger Nano), 트레저(Trezor), 세이프팔 하드웨어 월렛(Safepal Hardware Wallet), 엘리팔(Ellipal)
✅ 2. 페이퍼 월렛 (Paper Wallet)
- 개인 키와 공용 주소를 종이에 인쇄하여 보관.
- 완전한 오프라인 보관 방식이지만, 분실 시 복구가 불가능.
- (종류) 비트코인 페이퍼 월렛(BitAddress), 이더리움 페이퍼 월렛(MyEtherWallet Paper Wallet)
✅ 3. 에어갭 월렛 (Air-Gapped Wallet)
- 완전히 인터넷과 격리된 장치에서 운영되는 지갑.
- QR 코드 또는 오프라인 서명을 통해 트랜잭션을 검증.
- (종류) 엘리팔(Ellipal), 서퍼사이퍼(SuperCipher), 볼트12(Vault12)
암호화폐 지갑 요약
📌 암호화폐 지갑 종류
보관방법 | 특 징 | 지 갑 명 |
🔥 핫 월렛 | 인터넷 연결, 사용 편리하지만 보안 위험 있음 | 메타마스크, 팬텀, 트러스트 월렛, 바이낸스 월렛 |
❄️ 콜드 월렛 | 오프라인 보관, 보안성이 높지만 사용 불편 | 렛저 나노, 트레저, 엘리팔, 비트코인 페이퍼 월렛 |
🏦 거래소 지갑 | 중앙화된 방식, 개인 키 직접 소유 불가 | 바이낸스, 업비트, 코인베이스 |
📌 지갑별 지원 블록체인
지 갑 명 | 블록체인 기반 종류 |
메타마스크 (MetaMask) |
이더리움(ETH), BNB 체인(BSC), 폴리곤(MATIC), 아발란체(AVAX) 등 EVM 호환 네트워크 |
팬텀 (Phantom) |
솔라나(SOL) |
래빗 (Rabby) |
이더리움(ETH), BNB 체인(BSC), 폴리곤(MATIC) 등 EVM 호환 네트워크 |
클레버 (Klever) |
트론(TRX),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BNB 체인(BSC) 등 |
트러스트 월렛 (Trust Wallet) |
이더리움(ETH), BNB 체인(BSC), 폴리곤(MATIC), 솔라나(SOL) 등 다양한 멀티체인 지원 |
엑소더스 (Exodus)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폴리곤(MATIC) 등 다중 체인 지원 |
아토믹 월렛 (Atomic Wallet)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카르다노(ADA) 등 멀티체인 지원 |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시가총액 TOP 10 암호화폐(코인) (1) | 2025.03.13 |
---|---|
팬텀지갑(Phantom) 설치와 사용법 : 사진과 함께 따라오세요. (0) | 2025.03.10 |
에이다(ADA), 지금 사야 할까? 장점과 리스크 (3) | 2025.03.04 |
밈코인(Meme Coin)? 알아야 돈을 번다. (3) | 2025.03.01 |
파이코인 채굴법 간단 정리 (휴대폰) (1) | 2025.02.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법 순서
- 지브리풍
- 챗지피티 본심
- 챗지피티 지브리
- 장애인 신청 절차
- 장애인 복지카드 종류
- 파이코인 채굴
- 임플란트 지원사업
- 비트코인 보안
- 산업안전기사 수준
- 노인 임플란트 2개
- 암호화폐 지갑
- 파이코인 채굴방법
- 조항호목
- 비트코인
- 비트코인 채굴
- 양자컴퓨터 원리
- xrp
- 파이코인
- 양자컴퓨터
- 국내 s&p500 추천
- 챗지피티 속마음
- 리플
- TV
- 국내 s&p500 etf 종류
- 법 적용 원칙
- 산업안전기사 난도
- 챗지피티의 하루
- 리플 전망
- 법률 종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